2020년 11월 13일 저녁부터 애드센스 수익이 쌓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났습니다.
별 일 아니겠지 하고 14일 밤 12시쯤에 블로그에 들어와 봤더니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통째로 안나오고 있네요?
(인간적으로 여섯시간 이상 문제해결 못하면 롤백하는 것이 맞지 않남? ....)
정책위반 당한 것인가? 싶어서 애드센스 관리자페이지 정책센터에 들어가 봤는데...
▲ 발견된 문제 없음. -_-;;
이상합니다. 티스토리 입주자들 중에서 누구 하나가 나쁜 짓을 하는 바람에 티스토리 사용자 전체가 애드센스 송출이 안되는 경우가 예전에도 있었거든요.
더 나은 광고 표준에 위배되는 광고 경험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경고 상태가 되었습니다
▲ 2019년 12월에 있었던 일인데, 악착같이 신고 넣어서 해당 티스토리 계정을 날려버렸었지요.ㅋ
그런데 이번에는 정책위반 경고가 안 뜨는 것을 보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 아닌 것 같습니다.
▼ 티스토리 최신 공지사항의 댓글을 봤는데, 원성이 자자합니다.
개인도메인을 연결한 티스토리 블로그는 광고 출력이 정상적으로 되고 있다네요.
아무래도 티스토리 팀에서 수익기능 연동한다고 뭔가 잘못 건드려서 구글 애드센스 팀이 광고송출 차단을 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, 구글이 24/7 근무하지 않을 확률이 높으므로... 주말동안 정상화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.
(ads.txt 파일의 관리 권한을 블로그 운영자에게 주면 될 것을, 왜 굳이 수익 기능에 애드센스를 연동하겠다고 고집을 부리는지 모르겠습니다.)
티스토리 '수익' 기능의 애드센스 ads.txt 문제해결 방식이 못마땅한 이유
▼ 똥고집. -_-;;
아무튼, 최상단 광고라도 먹어야겠다 싶어서 카카오 애드핏(Adfit)을 대체재로 달았습니다.
▼ 수익 기능을 급하게 연동해봤지요.
그런데 광고 출력이 눈에 띄게 느립니다. 광고 뜨기 전에 Adfit 문구를 왜 띄우는지 모르겠습니다. 그것만 없애도 로딩시간을 줄일 수 있을텐데.
그래서 수익기능 연동을 해제하고 스킨 html코드를 직접 수정해서 애드핏 광고 넣는 방법을 택했습니다.
CPM 수익 따먹으려고 애드핏을 사이드바 구석에 배치했었는데, 이렇게 써먹을 줄은 몰랐네요.
※ 참고할만한 글
'블로그 관리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애드센스 본문에 매칭됐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 (0) | 2020.11.15 |
---|---|
티스토리 '수익' 기능의 애드센스 ads.txt 문제해결 방식이 못마땅한 이유 (6) | 2020.10.28 |
티스토리 계정 체계 카카오계정으로 변경됨? 매우 환영해야 될 일. (13) | 2020.09.12 |